본문 바로가기
증류주/술상식 이것저것

사케 등급 쉽게 구분하는 법(준마이, 긴죠, 다이긴죠)

by 뷰라이프 2025. 8. 28.
반응형
 

사케 등급, 어렵게만 느껴지셨죠?

🤔 사실 몇 가지만 알면 훨씬 쉽게 구분할 수 있어요.

준마이, 긴죠, 다이긴죠 차이부터

폴리싱 비율까지,

누구나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드릴게요!


사케 등급 쉽게 구분하는 법 

일본 술인 사케(日本酒),

마트나 주류 코너에서 한 번쯤은 보셨을 거예요.

그런데 라벨에 붙은 준마이, 긴죠, 다이긴죠 같은 말들…

처음 보면 뭔가 어려워 보이지 않나요? 😅

오늘은 사케 등급을

진짜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
일본 술에 관심 있는 분들,

혹은 이제 막 입문하신 분들에게

딱 맞는 내용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!


닷사이23

1. 사케 등급을 나누는 기준은?

사케의 등급을 나눌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

쌀을 얼마나 깎았느냐

(정미율, polishing ratio)입니다.

  • 정미율 70% → 쌀을 30% 깎고 70% 남겼다
  • 정미율 50% → 쌀을 절반 깎고 절반만 사용했다

쌀을 많이 깎을수록 불순물이 줄어들고,

더 맑고 세련된 맛이 나온다고 보시면 돼요.

대신 생산비용은 더 올라가죠.

즉, “얼마나 깎았냐”가

곧 사케의 격을 나누는 기준이에요 ✨


2. 기본 분류: 준마이 vs 혼죠조

먼저, 사케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.

  • 준마이(純米, Junmai) 

쌀 + 물 + 효모만 사용. 쌀 본연의 맛이 잘 살아 있어요.

  • 혼죠조(本醸造, Honjozo) 

여기에 조금의 양조 알코올을 첨가.

향을 더 가볍게 하고 마시기 편하게 만들어줘요.

 

👉 쉽게 말해,

준마이는 쌀맛 진~한 사케,

혼죠조는 좀 더 라이트하고 깔끔한 사케라고

생각하시면 됩니다.


3. 고급 등급: 긴죠, 다이긴죠

여기서부터가 많이들 헷갈리는 부분인데요.

  • 긴죠(吟醸, Ginjo)

정미율 60% 이하.

과일향, 꽃향 같은 화사한 향이 특징 🍎🌸

  • 다이긴죠(大吟醸, Daiginjo) 

정미율 50% 이하.

아주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향과 맛 ✨

 

여기에 “준마이”가 붙으면 쌀과 물만 사용했다는 뜻이에요.

  • 준마이 긴죠 → 쌀맛 + 화사한 향의 밸런스
  • 준마이 다이긴죠 → 최고급! 가장 맑고 정제된 느낌

4. 쉽게 기억하는 공식

이제 복잡하게 생각하지 마시고,

이렇게만 기억해 두세요 👇

  • 준마이 = 쌀 100%
  • 혼죠조 = 쌀 + 약간의 알코올
  • 긴죠 = 고급 향 (정미율 60%)
  • 다이긴죠 = 최상급 향 (정미율 50%)

즉, 라벨을 보다가 “준마이 다이긴죠”라고 적혀 있으면,

“아~ 쌀만 써서 만든 최고등급 사케구나!” 하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😎


5. 어떤 걸 마셔야 할까?

입문 자라면 혼죠조준마이부터

시작하는 걸 추천드려요.

쌀맛이 진하거나, 가볍고 산뜻한 맛

둘 다 경험해 볼 수 있거든요.

좀 더 향기롭고 세련된 맛을 원한다면

긴죠다이긴죠로 가보세요.

특히 차갑게(冷酒, 레이슈) 마시면

향이 더 잘 느껴집니다.

🍶 팁: 기름진 음식엔 준마이가 잘 어울리고,

회나 가벼운 요리엔 다이긴죠가 찰떡궁합이에요!


마무리

오늘은 헷갈리기 쉬운

사케 등급을 쉽게 정리해 봤습니다.

👉 한 줄 요약:

  • 준마이 = 쌀 100% 진한 맛
  • 혼죠조 = 깔끔한 라이트 맛
  • 긴죠 = 향기로운 고급 사케
  • 다이긴죠 = 최고급 세련된 사케

이제 사케 라벨을 보면 당황하지 않고,

내가 원하는 스타일을 고를 수 있겠죠? 😉

 

반응형